호중구감소증(CIN) 치료제

호중구감소증의 병리기전 및 미충족수요


2024-08-02_13_46_25.png
2024-08-02_13_46_252.png
새로운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Toloran4

지금까지의 호중구감소증(CIN, chemotherapy induced neutropenia) 치료제는 호중구의 증식을 유도하는 치료제인 G-CSF이었지만, G-CSF의 사용시에도 호중구가 혈관에서 조직으로 빠져나가는 속도가 워낙 빨라서 3일 정도는 관내 호중구가 패혈증이 유발될 수 있는 위험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그러므로 새로운 의약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왜 호중구가 혈관을 빠져나가는지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야만 합니다.

저희는 호중구감소증의 원인이 결국은 염증이며, 호중구감소증을 유발하는 염증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단순히 염증을 억제하는 일반적인 방법이 아니라, 탐식작용 및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해 염증의 유발물질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면 호중구가 혈관에서 염증부위로 많이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습니다. 또한 염증의 유발물질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암의 원인이 만성염증이라는 측면에서 암치료에도 도움이 되는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저희의 Toloran4는 바로 염증유발물질의 제거를 통해 호중구감소증에 대한 억제 효과가 매우 뛰어날 것으로 생각합니다.
2024-08-02_13_50_30.png
호중구감소증의 promising Therpeutic Targets

G-CSF가 호중구 생성을 촉진하는 방식의 작용기전을 갖고 있는데 반해 Toloran4는 염증유발물질을 빠르게 제거하여 호중구의 혈관밖누출을 억제하는 치료 전략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는 Toloran4의 면역활성이 치료효과가 기대될 만큼 충분히 높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Toloran4 사용시 예상되는 효과

 -  염증 억제로 호중구의 혈관외누출 억제
 -  호중구에서 Phagocytosis 증가를 통한 NETosis 억제
 -  NETosis 억제에 따른 염증 축소 및 호중구의 혈관외누출 억제 
 -  G-CSF와 병용요법시 호중구감소증에서 최적의 상승 효과 
 -  Toloran4에 의한 추가적인 항암효과 

새로운 치료제, Toloran4의 호중구감소증 효과


동물실험 결과

Toloran4가 세포독성 항암제 유발 호중구감소증에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어 동물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실험에서 마우스에 암을 이식한 후에 항암제를 투여할 경우, 항암제 투여로 인해 호중구가 급감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Toloran4가 포함된 BioBRB를 투여할 경우 호중구 감소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이는 Toloran4가 호중구감소증의 치료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높음을 잘 보여줍니다.
정상 마우스에서 Toloran4의 호중구 감소 억제 효과

• Toloran4는 4 mg/kg 수준에서 호중구감소증에 효과가 있음.
• G-CSF는 효과가 있지만, 초기에는 대조군 대비 더 낮은 수준까지 호중구가 감소함.
• 현재로서는 Toloran4는 G-CSF와 효능이 유사하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또한 G-CSF와의 병용요법에서 보다 더 우수한 효과가 기대됨.
새로운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Toloran4의 우수성

Toloran4를 호중구감소증의 치료제로 개발할 경우 장점이 많습니다.

우선, G-CSF는 제품의 특성상 부작용이 예상되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환자가 제한되지만, Toloran4는 이러한 제한이 없습니다.

G-CSF와는 전혀 다른 작용기전을 가지고 있어 병용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유리합니다.

미국과 달리 국내에서는 G-CSF를 선제적으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예방차원으로 사용이 가능한 Toloran4는 국내 시장에 매우 쉽게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Toloran4는 활성이 매우 높아 고활성으로 개발할 수 있어 다른 제품들과 매우 큰 차별점을 가지고 있습니다.